5. J의 방문
S는 누군가에게 전화를 건다. 수첩에서 찾은 전화번호는 W였다. C일보가 Q 컨텐츠 컴퍼니로 넘어간 이후 무려 1/3의 C일보 기자들이 거리로 내몰렸다. 동아투위 이후 기자들의 대량 해고사태는 처음이라는, 그래서 자본에 의한 언론학살이라는 비판도 많았다. W는 이 구조조정의 칼날을 피하지 못했다. 그리고 현재 W는 국내 포털사이트 D에서 블로거 관련 업무를 하고 있다.
W는 반갑게 전화를 받았다.
W : “여보세요”
S : “W! 나야 S!”
W : “어 그래 잘 지내지?”
S : “그럼. 잘 지내지. 혹시 이번 주말에 시간있어?”
W : “어, 특별한건 없는데… 왜 라운딩하게?”
S : “아니 시카고에 J가 잠시 귀국한다고 하네. 함 뭉칠까 하고~”
W : “아 그래? 잘됐네. 간만에 술한잔하세”
6. 오랜만의 해후
강남의 한 술집에서 만난 S와 J, W는 오랜만의 만남으로 기나긴 이야기 꽃을 피운다. 세명은 시카고에서의 추억, 논문 스트레스, 가족들끼리의 안부 등으로 유쾌한 시간을 보내고 있다. 각각 통신사, 방송사, 신문사에서 일할 때 처음 만났지만 지금은 조금씩 다른 영역에서 제2의 인생을 개척하고 있다. S는 대학강단에서, J는 시카고 한인방송국에서, W는 포털사이트 D에서… S는 아직 통신사와 대학강단을 겸직하고 있지만 조만간 대학강단에 전념한다는 계획이다.
시간이 꽤 흐르자 세 명은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에 대해 놀라움과 두려움을 토로한다. 시카고 유학시절까지만 해도 영원불멸의 제국은 아니어도 방송사와 통신사는 안전할 줄 알았는데 그렇지 않았다는 것. 그리고 그 믿음이 깨졌을 때 개인은 한없이 작아지더라는 생활 속의 깨달음이 진지하게 튀어 나왔다.
J : “좋은 시절 다 갔어. 방송사가 저렇게 찌그러질 줄 누가 알았겠어?”
W : “뻔데기 앞에서 주름잡냐? 신문사는 포털에 납품하는 하청업체로 전락한지 오래야.”
S : “통신사라고 뭐 용가리 통뼈인줄 아냐? 이제 우리도 벼랑 끝이야.”
J : “내가 지상파에서 지역 방송사로 간거고…”
S : “W가 신문사에서 포털사로 가고…”
W : “S가 통신사에서 학교로 가고… 야~ 다들 변신의 귀재구나 하하하”
술김에 누군가 화두를 던졌다. 10년 후에도 지금의 산업구조가 유지될까? 그러나 아무도 대답을 하지 않는다. 어두컴컴한 바의 뽀얀 담배연기가 보일락 말락 공중으로 사그라져 간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