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J의 방문

S는 누군가에게 전화를 건다. 수첩에서 찾은 전화번호는 W였다. C일보가 Q 컨텐츠 컴퍼니로 넘어간 이후 무려 1/3의 C일보 기자들이 거리로 내몰렸다. 동아투위 이후 기자들의 대량 해고사태는 처음이라는, 그래서 자본에 의한 언론학살이라는 비판도 많았다. W는 이 구조조정의 칼날을 피하지 못했다. 그리고 현재 W는 국내 포털사이트 D에서 블로거 관련 업무를 하고 있다.

W는 반갑게 전화를 받았다.

W : “여보세요”
S : “W! 나야 S!”
W : “어 그래 잘 지내지?”
S : “그럼. 잘 지내지. 혹시 이번 주말에 시간있어?”
W : “어, 특별한건 없는데… 왜 라운딩하게?”
S : “아니 시카고에 J가 잠시 귀국한다고 하네. 함 뭉칠까 하고~”
W : “아 그래? 잘됐네. 간만에 술한잔하세”



6. 오랜만의 해후

강남의 한 술집에서 만난 S와 J, W는 오랜만의 만남으로 기나긴 이야기 꽃을 피운다. 세명은 시카고에서의 추억, 논문 스트레스, 가족들끼리의 안부 등으로 유쾌한 시간을 보내고 있다. 각각 통신사, 방송사, 신문사에서 일할 때 처음 만났지만 지금은 조금씩 다른 영역에서 제2의 인생을 개척하고 있다. S는 대학강단에서, J는 시카고 한인방송국에서, W는 포털사이트 D에서… S는 아직 통신사와 대학강단을 겸직하고 있지만 조만간 대학강단에 전념한다는 계획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시간이 꽤 흐르자 세 명은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에 대해 놀라움과 두려움을 토로한다. 시카고 유학시절까지만 해도 영원불멸의 제국은 아니어도 방송사와 통신사는 안전할 줄 알았는데 그렇지 않았다는 것. 그리고 그 믿음이 깨졌을 때 개인은 한없이 작아지더라는 생활 속의 깨달음이 진지하게 튀어 나왔다.

J : “좋은 시절 다 갔어. 방송사가 저렇게 찌그러질 줄 누가 알았겠어?”
W : “뻔데기 앞에서 주름잡냐? 신문사는 포털에 납품하는 하청업체로 전락한지 오래야.”
S : “통신사라고 뭐 용가리 통뼈인줄 아냐? 이제 우리도 벼랑 끝이야.”
J : “내가 지상파에서 지역 방송사로 간거고…”
S : “W가 신문사에서 포털사로 가고…”
W : “S가 통신사에서 학교로 가고… 야~ 다들 변신의 귀재구나 하하하”


술김에 누군가 화두를 던졌다. 10년 후에도 지금의 산업구조가 유지될까? 그러나 아무도 대답을 하지 않는다. 어두컴컴한 바의 뽀얀 담배연기가 보일락 말락 공중으로 사그라져 간다. <끝>



※ 이 글은 우모가 <방송환경의 변화와 미래>의 기말 레포트로 작성한 <미디어 오딧세이, 2017> 입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