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삽입 이미지


스티브 잡스의 창조 카리스마
김영한 지음
리더스북
애플의 스티브 잡스는 이 시대 최고의 스타이다. 남들은 경영인으로서 평가하지만 내가 볼 때 그는 사회적 스타라 할 수 있다. 영웅 만들기 좋아하는 미국 사회가 낳은 또 한명의 아메리칸 드림이다.
일단 그는 대졸자가 아니다. 오리곤주의 포틀랜드에 있는 리드칼리지에 진학했지만 졸업은 하지 않았다. 이미 그는 보다 가치있는 일을 위해 학위를 포기한 것이다. 물론 다분히 결과론에 근거한 예찬이다.

그리고 단돈 1,300달러로 애플을 창업했다. 쉽지 않은 창업의 길이었지만 그런대로 성공했다. 애플을 IBM이라는 골리앗과 싸울 수 있는 다윗으로까지는 성장시켰다. 여기까지의 스토리는 그를 스타로 만들기에는 뭔가 부족하다. 그래도 아메리칸 드림으로 만들려면 좀더 극적인 반전이 필요하다. 애플은 기술적으로 우수했지만 소비자 눈높이에 맞는 상품을 만드는데 실패하여 그는 결국 애플에서 해고당하고 만다. 이게 스티브 잡스 스토리의 첫번째 매력이다.  

주어진 성공은 그저 부러움의 대상일 뿐 존경의 대상은 되지 못한다. 스티브 잡스는 인생에서 쓰디 쓴 패배를 맛본 후에야 좀 더 여유를 갖고 자신의 삶을 관조할 수 있었다. 그리고 동시에 미래를 준비했다.

그리고 준비한 것이 넥스트라는 회사와 픽사의 설립이다. 특히 픽사는 그를 엔지니어에서 엔터테이너로 탈바꿈하게 만든 기회였고, 그는 그 기회를 홈런으로 만들었다. <토이 스토리>의 성공이 그것이다. 이것이 스티브 잡스 스토리의 두번째 포인트다.

그리고 그는 그 성공을 바탕으로 화려하게 애플로 복귀한다. 그동안 그가 PC산업에서의 실패와 엔터테인먼트 산업에서의 성공 경험을 바탕으로 아이팟이라는 아이코닉 제품을 만드는데 성공한다. 기존의 상식을 뛰어넘은 블루오션을 찾아내어 단번에 문화 트렌드로 자리매김 한 것이다. 그리고 이어 아이폰을 만들어 세상을 떠들썩하게 만들었다. 이것이 스티브 잡스 스토리의 세번째 클라이맥스이다.

저번 포스팅에서 지적했듯이 이미 스티브 잡스는 경영학의 영웅이며 세계적인 엔터테인너가 되어 버렸다. 그래서 그의 신제품 발표회는 언제나 세계 언론의 관심을 끌고 있다. 마치 마이클 조던의 복귀를 취재하는 언론들 처럼...

이 책은 그의 스토리를 정말 간략하게 꾸며 놓았다. 그래서 읽기에 부담이 없다. 한시간이면 다 읽을 수 있는 분량이다. 난 부산에 내려가는 차에서 다 읽었다. 그리고 아쉽지 않게 끄트머리에 그의 성공전략을 약간 세속적인 시각에서 다루었다. 보는 사람에 따라서는 사족으로 비춰질 수 있을 것 같다. 스티브 잡스學에 입문하기에는 딱 좋은 책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웹2.0 시대의 기회 시맨틱 웹
김중태 지음
디지털미디어리서치

어느날 친한 회사 선배가 책 한권을 건넸다. 읽어 보면 도움이 될꺼라며...

책의 주제는 요새 한창 뜨고 있는 시맨틱웹에 관한 내용이었다. 아무래도 문과출신으로 IT기업에 몸담고 있는 내게 기술적인 백그라운드를 더 강화하라는 의미로 준 모양이다.^^

사실 IT업계가 워낙 빨리 변화하니 AJAX니, XML이니, OPML이니 대충 뜻은 알지만 정확하게 설명하기 힘든 용어들이 많았다.

이 책은 그런 면에서 적절하게 난이도가 조정된 책이다. 한번씩 읽어볼 만한 책이다. 웹2.0과 시맨틱웹의 묘한 뉘앙스 차이도 이 책을 통해 알게 되었다. 한마디로 말하면 시맨틱웹은 컴퓨터끼리 대화하는 자동화된 지능형 웹을 뜻하는 용어이고, 웹2.0은 시맨틱웹을 경제적 관점이나 플랫폼으로 보고 응용해 구현된 상태를 말한다. 나도 두 의미의 구분없이 사용해 왔었다. 그래도 말 통하는데는 문제가 없었다. ^^

그리고 이 책은 기술 뿐 아니라 웹의 철학에 대해서도 언급한다. 웹철학의 부재가 낳고 있는 기형적인 국내 웹문화를 비판한다. Acive X에 지나치게 의존하고 있는 국내 사이트들, 기술투자 없이 고객의 소비행태에만 마케팅을 쏟아 붓는 이통사들, 정보의 흐름이 아닌 단절을 추구하는 네이버 등을 구체적으로 언급한다. 결국 지은이는 인프라 강국에 안주하고 있는 대한민국이 절대 인터넷강국이 아닌 그저 초고속통신망의 보급률 강국에 지나지 않는다고 말한다.

사실이다. 웹의 문화는 왜곡된 부분이 분명 존재한다. 그 많은 사이트들이 있지만 새로운 컨셉을 창조적으로 들고 나오는 곳은 별로 없다. 웹인구도 적은 외국에서 개발한 사이트를 베끼는데 주력하고 있는게 현실이다. 그나마도 제대로 베끼지도 못하면서...

지은이가 말한대로 분명 3년 후에는 현재 웹의 형상이 바뀌어 가고 있을 것이다. 지금의 네이버는 그때에도 네이버의 위치에 있지는 않을 것이다. 시맨틱웹이라는 거대한 흐름을 주도하는 기업만이 살아 남을 것이다.

모바일도 예외는 아니다. 현재는 합법적인 진입장벽으로 공고한 성을 쌓고 있지만, 현재의 WAP서비스를 그대로 끌고 나간다면 분명 한계에 부딪칠 것이다.



시맨틱웹의 주요 정리

- 철학은 기술을 만들고 기술은 문화를 만든다.
- 지식과 정보는 인류 공동의 문화유산이자 후대에 물려줄 공개 자산이다.
- 웹은 엔트로피 감소에 기여하는 친환경 자원이다.
- 웹2.0은 시맨틱웹 기술을 생활에 어떻게 적용시킬 것인가에 관심을 두고 있다
- 시맨틱웹(뜻살린 웹)은 현재 웹의 확장으로 자동화 처리를 강화시킨 웹이다.
- 숨은 자료(meta data)의 양과 정보의 질은 비례관계다.
- 정보 검색은 컴퓨터를 벗어나 모든 기기로 확장된다.
- 콘텐츠 배포과정에서 이미 시맨틱웹은 RSS를 통해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 유비쿼터스와 시맨틱웹이 만나면 모든 것이 자동화될 것이다.
- 자동화에는 기술보다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
- 시맨틱웹은 국민 참여시대와 권력 분산화를 이끌 것이다.
- 사이트를 보는 시대에서 사이트 편집시대, 브라우저 공유시대로 가고 있다.
- 노령화 사회를 위한 사회 복지 시설이 IT의 주요 과제가 될 것이다.
- 시맨틱웹은 에너지 절약 기술에 도움을 줄 것이다.
- 웹 표준과 웹 접근성을 지켜야 살아 남으며, 표준을 지키는 것이 기술력이다.
- 시맨틱웹을 준비하는 사람과 기업이 다음 시대의 주인공이 될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동안 집에만 있어 답답해 했던 와이프와 아기곰을 위해, 이번 신정 연휴기간 동안 바람을 쐬기로 했다. 원래 연휴 첫날인 토요일, 코엑스에 있는 세계인형박람회에 가려고 했으나, 그놈의 늦잠 덕에 포기하고 말았다. 대신 집에서 가깝고 드라이브 하기도 좋은 과천에 있는 국립현대미술관으로 차를 몰았다.

무슨 미술품이 있어서 간다기 보다는 그냥 떠나는 것이었기 때문에 특별히 기대는 하지 않았다. 근데 니키 드 생팔(Niki de Saint Phalle) 특별전이 있다기에 뭘까 하는 호기심에 들어가 봤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마침 전시설명회가 있어서 작가의 삶과 작품에 대해 들을 수 있었다. 니키 드 생팔은 파란만장한 삶을 산 사람이다. 사진처럼 미모의 여성이었다. 11세 때 아버지에게 성폭행을 당해 약간 정신이 이상해지기도 했고, 남자에 대해 극도의 증오심을 품게 되었다고 한다. 니키는 병원에서 정신치료의 일환으로 미술을 접하게 되었는데 그게 그녀의 삶을 바꿔놓은 셈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녀의 작품을 보면 초기에는 아주 남성을 혐오하는, 그리고 죽이고 싶어하는 욕망이 그대로 드러나는 작품을 했단다. 이름하여 슈팅페인팅... 작품에 페인트 주머니를 놓고 총으로 쏴서 터뜨리는 작품이다. 그녀로서는 일종의 대리만족이기도 하고 과거를 잊는 의식이기도 했을 것이다.

그래서 그녀의 초기작들은 정말 싸이코 작품이란게 한눈에 알 수 있다. 저 다트를 던지면서 무슨 생각을 했을까? 그리고 저걸 보는 그녀의 남자친구는 어떤 느낌이었을까? (절레절레..)

하지만 그녀도 나이가 들면서 작품패턴은 남자의 그늘에서 벗어나게 된다. 점점 여성에 집중하게 되고 아름다운 섹스심벌로서의 여성이 아닌 사람으로서의 여성에 주목하게 된다. 그래서 나오느 작품들은 어딘지 매력이 없는 여성들 뿐이다. 허벅지가 굵거나 못생기거나 고릴라 같은 여성들이 대부분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저 위에 있는 고릴라가 물구나무 선 듯한 작품이 <나나>라는 니키의 대표작이다. 물론 여자다. 아름다운 여자를 표현한 것이다.

니키를 잘은 모르지만 작품의 면면이 상업화하기 딱 좋다고 생각되었다. 그녀가 의도하든 의도하지 않았든 간에 작품들의 색이 예쁘다. 달력으로 만들어도 펜던트로 만들어도 예쁠 것 같았다. 게다가 니키는 미모의 여자다. 누가 봐도 참 섹시하다는 느낌이 드는데 사상은 상당히 페미니스트적이다. 이런 이율배반이 또한 니키의 장점이다. 섹시한 외모의 남성지향적 외모를 가진 여자가 여성의 삶을 고민하는 여성 지향적인 머리도 가졌다니 얼마나 완벽한 조화일까. 여자들이 더 동경할 만한 컨셉이다.

아니나 다를까 미술관 현관 옆에는 그녀의 작품으로 수첩이니 달력이니 여러 상품을 팔고 있었다. 자본주의를 혐오했던 체게바라가 아이러니하게 자본주의 상품의 상징이 된 것처럼, 니키도 비슷하게 변해가지 않을까 생각해 봤다.

큰 기대는 하지 않았던 연말 나들이가 뜻밖에 좋은 작품을 만나게 되어 더욱 풍성해졌다. 나중에 니키의 사상을 담은 책도 읽어볼 참이다.

아래는 국립미술관과 네이버 백과사전에서 퍼온 니키의 작품세계와 삶이다.  

'앗상블라주'에 포함된 작품들은 50년대 후반에서 60년대 초반에 이르기까지 집중적으로 제작된 초기작들이다. 니키 드 생팔 특유의 개인적인 경험에 기반한 상상의 세계가 형성되는 과정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작품들이다.      
 
‘사격회화’는 60년대 전반기에 집중적으로 제작된 작품들로서, 실제로 남성셔츠를 걸어두고 머리부분에 과녁을 설치하여 관객들이 직접 다트를 던지도록 했던 <다트 초상화>에서부터 여러 가지 사물을 화면에 부착하여 준비한 캔버스에 실제 사격을 해서 완성한 <사격회화>들까지 다양한 시도들을 만날 수 있다.      

‘괴물’은 60년대 중반부터 70년대에 이르기까지 작가의 주요 관심사 중 하나였다. 비교적 중성적인 내용을 가졌던 초기 사격회화와는 달리 보다 구체적인 상상의 세계 - 특히, ‘괴물’로서 대변되는 부조리한 현실에 대한 파노라마가 펼쳐진다.      

‘나나’는 작가의 대표적인 연작 중 하나로서, 화려한 색채로 장식한 뚱뚱한 흑인 여성을 미의 화신처럼 묘사함으로써 20세기 중후반 여성에 대한 서구 남성들의 고정관념을 비웃고 성 정체성에 대한 질문을 공개적이고 예술적인 방식으로 던지고 있다. <에리카>, <얼굴 없는 나나> 등의 초기작부터 <물구나무 선 나나> 등 대표작까지 다양한 나나들을 만나볼 수 있다.      

‘공공조각’은 1966년 스톡홀름 현대미술관에 설치된 <그녀 Hon>를 비롯하여 1967년 몬트리올 엑스포의 프랑스관을 위해 제작한 <환상적인 천국>, 1971년-72년 예루살렘 라비노비치 공원의 놀이조각 <골렘>, 1982년 퐁피두센터의 <스트라빈스키 분수>, 무엇보다 1978년에 착수하여 일반에 공개될 때까지 거의 20여년의 세월 동안 혼신의 힘을 쏟아 부은 역작 <타롯 공원> 등 작가의 공공 프로젝트와 관련된 드로잉, 판화, 모델 등과 후기조각들로 구성되어 있다.
 

니키 드 생팔(Niki de Saint Phalle)
누이이 출생. 태어나자마자 부모와 헤어져 조부모의 손에서 자랐다. 외로운 유년기를 보낸 탓인지 반항적이고 독립적인 성격이었다. 18세 때 모델로 일하다가 20세 때부터 그림을 그리기 시작하였고, 1952년부터는 신경쇠약을 달래기 위해 그림을 그렸다. 평범한 여성으로서 만족하지 않고 자기 세계에 대한 욕구와 사회의 모순을 예술 작품으로 승화시켰다.

1961년에 '슈팅 페인팅 shooting painting'으로 누보레알리슴 작가로서 이름을 얻었다. 슈팅 페인팅이란 마을 축제와 같은 전시장에서 관객에게 총을 주어 캔버스 위에 매달아 놓은 물감 주머니를 쏘게 함으로써 무작위적인 추상화를 연출하는 것이다.

또 사격조각의 모체가 되었던 《내사랑의 초상화 Portrait of my Lovers》(나무, 셔츠, 타이, 타깃, 화살, 채색, 72×55×7㎝, 1961)는 여성에 대해 무책임한 남성들을 상징적으로 죽이는 작품으로, 표창을 던질 표적과 남성용 셔츠에 타이를 매어 나무에 붙이고 표창을 던짐으로써 남성에 대한 증오심을 치료하였다. 또 낡은 장난감, 그리스도 수난상, 폐품 등을 모아 놓고 전체를 금색으로 칠한 부조물을 만들어 종교예술에 대한 공격적인 패러디를 보이기도 했다.

한편 《나나 NaNa》 시리즈에서는 밝게 채색된 그로테스크한 조각상이 등장한다. 낙천적이고 맵시 없이 과장되게 부푼 모습들은 밝고 재미있는 색채를 띠어 활기차 보이지만 그 내면에는 인간의 약점이나 두려움, 불확실성 등에 대한 역설적인 상상을 하게 만든다. 스톡홀름 미술관에 거대하게 세워진 《혼 Hon》(1966)은 여성의 육체를 본떠 만든 조각품으로, 어느 남성보다 크고 강한 조각품을 만들고자 하여 만든 것인데, 그 몸 속에 유원지를 연상케 하는 환경을 설계하여 영원한 정신적 안식처로서의 여성을 말하였다.

KTF에서 문근영을 섹시모델로 내세웠다. 문근영하면 순수한 이미지의 국민 여동생인데 180도 다른 이미지로 KTF가 포장했다. 어떻게 보면 모험일 수도 있는데... 보는 사람들이 이 CF를 문근영의 성장해 가는 모습의 하나로 바라 볼지, 아니면 여동생을 뺏긴데 대한 시샘어린 눈으로 바라볼지에 따라서 평가는 달라질꺼다.

예전에는 삼성이 전지현의 섹시코드로 꽤 효과를 봤었다. 동영상이 인터넷에서 마구 돌기도 했다. 마이젯인가 하는 프린터와 전지현은 아무 연관이 없었지만, 컬러로 숨을 쉰다 였나? 하여간 그 한마디로 전지현과 접목을 시키려고 무던히 애를 썼다. 그리고 최근에는 이효리를 모델로 뮤직비디오를 만들기도 했다. 이효리의 '애니모션'은 역시 전지현급은 아니었지만 그런대로 꽤 이슈화 됐었다. 에릭도 같이 나왔었지, 아마?

KTF가 이번에는 문근영으로 출사표를 던진 셈이다. 근데 비디오를 보면 문근영의 섹시코드는 전지현과 이효리와는 다른 느낌이다. 왠지 아직은 소녀티가 남아 있다. 눈썹이 올라가면서 순진한 표정을 짓는 얼굴을 보면 그래 이게 문근영이지 하는 생각만 남는다.

뮤직비디오에서 문근영의 춤은 어색하지 않다. 그런대로 어울린다는 생각도 든다. 바로 위의 사진은 의자를 놓고 여러명이 함께 춤추는 장면인데, 뮤지컬 '카바레'에서 따온 것 같다. '카바레'에서 이 의자춤은 커튼콜에서도 다시 무대위에 올려지는 대표적인 댄스다. 나도 '카바레' 보면서 이 장면이 참 인상적이었다. 근데 '카바레'에서는 'Fever'라는 약간 퇴폐적인 음악이 깔렸는데, 뮤직비디오에서의 문근영 노래는 발랄해서 좀 언발란스하다는 느낌이다.

어쨌든 문근영은 변신한다. 대중이 원하든 원치 않든 그녀는 성숙해질 것이다.







고등학교 때 AFKN에서 딱 한번 듣고 너무 큰 감동을 받았던 음악이 있다. Bruce Springsteen의 Fire라는 곡이다. 내 기억엔 Bruce Springsteen이 'E' Street band와 같이 공연했던 방송이었다. 


그 후에 이 곡을 찾으려고 인터넷 곳곳을 뒤져봤었는데 전혀 흔적조차 찾을 수 없었다. 그래서 Bruce Springsteen이 노래를 담은 앨범은 내지 않고, 그냥 방송에서 리메이크로 한번 부른 것으로만 여겼다. (그런데도 이 음악의 가사 일부와 음율을 기억하고 있다니 나 스스로도 정말 놀랍다)

노래의 도입부분은 리듬만 주다가 Bruce Springsteen이 노래를 부르면서 악기가 조금씩 추가되는 스타일이다. Bruce Springsteen의 호소력 짙은 음색과 폭발적인 음성이 적절히 가미된 음악이다.

그러다 MP3Realm이라는 사이트에서 우연히 이 라이브 곡을 발견했다. 어찌나 반가운지 기말고사 공부하다 말고 이 포스팅으로 남긴다. 참고로 이 사이트는 팝송을 위주로 mp3 다운로드 받을 수도 있고 감상도 가능하다. 불법인지 합법인지는 모르지만...

그리고 Bruce Springsteen의 공식 사이트에서 퍼온 약간 마초적인 냄새의 가사...





I'm driving in my car, I turn on the radio
I'm pulling you close, you just say no
You say you don't like it, but girl I know you're a liar
'Cause when we kiss, Fire

Late at night I'm takin' you home
I say I wanna stay, you say you wanna be alone
You say you don't love me, girl you can't hide your desire
'Cause when we kiss, Fire

You had a hold on me, right from the start
A grip so tight I couldn't tear it apart
My nerves all jumpin' actin' like a fool
Well your kisses they burn but your heart stays cool

Romeo and Juliet, Samson and Delilah
Baby you can bet their love they didn't deny
Your words say split but your words they lie
'Cause when we kiss, Fire







회사에서 담당 회식을 어떻게 할지 우리 수석부서에서 정하라는 오더가 떨어졌다. 그동안 삼겹살에 소주 일색이었던 회식에 모두 지쳐 있었지만, 사실 회식이란게 그 자체로 달갑지 않아서 영 마뜩챦았다. 차라리 일찍 퇴근시키는게 재충전에 더 좋은데 말이다. 그래도 아이디어는 내야겠기에 영화보며 맥주 마시기를 제안했는데 그냥 그대로 통과되고 말았다. 안하는게 더 좋은데... ㅜ.ㅜ

어쨌든 '괴물' 개봉하는 날에 맞춰 회사동료들과 일찍 퇴근했다. 대부분은 화제작 '괴물'을 보지만 그래도 일부는 '한반도' 등으로 발길을 돌렸다. 하긴 영화까지 회사사람들이랑 같이 봐야 하느냐는 생각에 일부러 그랬는지도 모르겠다. 난 강우석감독은 별로였고 봉준호감독을 신뢰하고 있었으니 선택은 당연히 '괴물'이었다.

선택은 탁월~ 그 자체였다. '살인의 추억' 보다 짜임새는 덜 했지만, 메시지나 흡인력은 훨씬 나았다. 봉감독은 나를 배신한 법이 없다. 별을 주라고 하면 주저없이 ★★★★★ 쏜다.





배우들의 연기도 물샐틈없이 이어져 well-made 영화라 평을 받은 이유를 알만 했다. 특히나 변희봉씨의 연기는 묵은 장맛의 우수성을 재확인 시켜줬다. 소시민의 이미지, 못난 아들을 감싸는 아버지, 그리고 가족을 위해 모든걸 희생하는 가장의 모습을 얼굴의 주름 하나하나가 연기하는 듯 매끄러웠다.


마지막 '괴물'에 공격당하기 직전 변희봉씨의 미소는 전율감마저 느끼게 해주는 명장면이었다.(살짝 눈물이 핑 돌았다) 변희봉씨는 '살인의 추억'에서 그리 비중있는 역할은 아니었음에도 맛깔스러운 연기가 눈에 선했는데, '괴물'에서는 한단계 업그레이드되어 연기력에 걸맞는 비중을 찾았다.


역시나 영화 끝나고 맥주집으로 옮긴 이후 회식 분위기는 좋았다. 다들 회사 얘기는 빼고 영화 얘기로 꽃을 피웠다. 영화는 이 맛에 혼자보면 제 값을 못뽑는 것 같다. 영화라는 텍스트보다 영화를 보고 난 이후 각자의 해석을 듣는 맛이 제법 쏠쏠하다. 영화보든 동안 발견못했던 텍스트의 의미를 동료를 통해 알게 되었을 땐 음.. 이사람 이런 면도 있었네~ 하는 신선한 발견을 하기도 한다.

게다가 영화보고 맥주 한잔 걸치면 시간이 어느덧 택시잡아야 할 시간이 다가와 과음않고 귀가하게 되니 일석이조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