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가 주는 먹먹한 감동을 수치화 한다면, 이 영화는 필시 만점에 가까운 점수를 받을 것이다. 

영화가 우리의 현실을 이미 반영했기 때문이고, 영화가 우리의 미래를 미리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지극히 현실적이기에 먹먹함을 넘어 공포까지 느끼게 된다면 너무 지나친 빈약일까?



영화는 구조적 측면에서 관료주의를, 본질적 측면에서 인간의 자존심을 이야기 한다. 심장병으로 부득이 실업수당을 받을 수 밖에 없는 성실한 목수에게 관료 조직은 절망 만을 안겨준다. 신청 절차를 인터넷으로만 받는 공무원에게 시민의 편의는 안중에 없다. 오히려 복잡한 절차를 통해 신청 포기를 유도하는 저의가 숨어 있다. 그런 의도된 불친절에 대항(?)하는 주인공 다니엘(데이브 존스 역)에게 투쟁심을 불러 일으킬 뿐이다. 



처음에 다니엘은 그런 제도에 적응하려 노력했다. 인터넷 신청을 시도하고, 컴퓨터를 배우고, 이력서 작성하는 강의를 듣고, 그 이력서를 들고 성실하게 동네를 돌았다. 그 성실함에 일자리를 찾기도 했지만, 심장병으로 일 할 수는 없었다. 제도가 개인에게 거짓말쟁이를 강요하는 게 영화 속 현실이다. 



그런 다니엘이 제도에 반항하기 시작했다. 아니 인간으로서의 자존심을 지키기 시작했다. 보여주기 위한 증거 수집을 거부하고 수당을 받기 위한 노력을 포기한 것이다. 대신 그는 낙서를 통해 자신의 뜻을 밝히고 항소를 택했다. 쉽지 않은 길이었지만 그를 응원하는 사람들을 보며, 자신을 아직 필요로 하는 이웃들을 보며 비텼다. 


그러나 다니엘에게 허락된 현실은 거기까지였다. 항소 승리를 눈앞에 둔 시점에 그는 심부전으로 죽음을 맞고 만다. 그토록 기다리던 승리가 눈 앞에 있었는데...



영화는 가공의 현실을 반영한다. 현실에서 이룰 수 없는 꿈을 영화 속 주인공을 통해 이루고, 듣고 싶던 말을 영화 속 대사로 위안을 얻곤 한다. 하지만 이 영화는 현실을 더 현실감 있게 묘사한 덕에 엔딩 크레딧이 올라가도 극장 조명이 환하게 켜져도 먹먹함이 가슴을 무겁게 짓누른다. 


더 마음이 아픈 건 영국보다 더 한 대한민국의 빈약한 사회보장 현실 때문이다. 영국은 저소득층에게 식료품을 살 수 있게 해주고, 주거비도 지원해준다. 비록 인간의 자존심을 담보로 주는 지원이지만 대한민국에선 들어본 적이 없다. 영하의 추운 날씨만큼 영화의 뒷 맛이 씁쓸하다. 


개인적으로 별 4개 반 주고 싶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