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레슬러>, 이 영화는 주인공 미키 루크 하나로 이해할 수 있는 영화다. 미키 루크는 80년대 <나인 하프 위크>의 섹시가이 대명사로 한 시대를 풍미했던 스타다. 어둠 속에 얼굴 반이 그림자로 드리워진 그의 입체적인 마스크는 남자가 봐도 멋있었다. 그런 그가 이 영화를 통해 다 늙은, 아니 추하게 구겨진, 모습을 가감 없이 보여줘 충격과 감동을 안겨줬다. 충격이라면 생물학적 노화현상일 것이고, 감동이라면 그럼에도 빛나는 삶에 대한 의지를 말할 것이다. 



영화는 미키 루크의 데칼코마니라 할만큼 그의 삶과 유사하다. 80년대의 레슬링 스타 랜디(미키 루크 역)는 두 삶을 살고 있다. 링 안의 삶과 밖의 삶. 링 안에선 팬들의 사랑과 존경을 받지만, 밖에선 딸로부터 외면 받고, 생활고에 찌들린채, 단골 술집 스트리퍼인 캐시디와의 썸만이 유일한 안식처인 독거남이다. 두 삶은 하늘과 땅만큼 다르지만, 그는 늘 열정적이면서 본능적으로 돌진한다. 그래서 링 위에 오를 때와 식료품 상점에 출근할 때의 그를 비추는 카메라 워크는 똑같다. 그의 육중한 뒷모습을 따라가며 원테이크로 길게 잡는 신은 몇번을 봐도 종교의식같은 장엄한 느낌을 준다. 그렇게 랜디는 링 안팎의 삶을 전투하 듯 살았을 것이다. 


"링에서 모든 걸 잃었고 모든 걸 얻은 나는 레슬러입니다." 



그런 그가 건강이 급격히 악화되어 은퇴를 결심하게 되고, 이를 기점으로 삶에 변화가 오게 된다. 캐시디의 권유로 딸과의 화해를 시도하고, 캐시디와 진전된 사랑을 시도하고.. 시도는 좋았지만 결과는 그리 좋지 않았다. 남은 건 그저 식료품 상점에서 왕년의 스타가 아닌 점원으로 사는 굴종의 삶. 


하지만 랜디는 그런 삶에 타협하지 않았다. 비록 의사의 경고가 있었지만, 심장의 압박에도 불구하고 다시 링으로 복귀한다. 그리고 자기 인생의 주인공으로 우뚝 선다. 캐시디와 함께. 영화의 마지막 신은 랜디가 링 위에서 몸을 날리며 끝난다. 이후 암전은 많은 여운을 준다. 랜디가 승리했을 수도, 심장의 고통을 이겨내지 못했을 수도 있다. 커튼 뒤에 숨겨진 결과는 온전히 관객의 몫이다. 



하지만 확실한 건 랜디는 자기 삶에 대해 늘 솔직하게 살아왔다는 점이다. 그렇기에 현재의 모습이 아무리 추하다 하더라도 떳떳할 수 있는 것이다. 미키 루크의 흉한 얼굴을 보고 혹자들은 성형 중독자라고 손가락질을 한다. 그것이 사실이건 아니건 난 큰 관심 없다. 내 눈엔 미키 루크의 일그러진 얼굴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중 앞에 나설 수 있는 용기가 더 도드라지게 보일 뿐이다.


뱀발.

사실 레슬링은 짜고 치는 고스톱이라 스포츠라 생각하지 않았다. 스포츠를 가장한 엔터테인먼트라 여겼다. 그래서 단체명이 WWF가 WWE(entertainment)로 바꿨을 때 솔직한 인정 정도로 여겼다. 하지만 영화를 보면서 엔터테인먼트라 할지라도 그 속엔 치열한 삶이 꿈틀거리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