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최동수선수가 두산에 밀리는 이유에 대해 고백을 했다는 기사가 나왔네요. 글쎄요. 읽어보니 그럴듯 하기도 하지만 뭘 말하는건지 모르겠네요. 진짜 이유는 짚어내지 못하는 것 같습니다.

기사 보기
[포커스] 최동수의 고백 'LG가 두산에 밀리는 이유'
 
우선 최동수선수의 얘기를 종합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90년대까지는 LG가 우위를 점했다
2. OB에서 두산으로 바뀐 99년부터 바뀌기 시작했다
3. 두산은 긴축재정으로 비싼 선수 대신 기대주를 실전에 투입했다.
4. 이 기대주들이 창조적인 플레이를 했다
5. 구단의 기막힌 트레이드 타이밍도 한몫 했다.

최동수선수가 기자에게 이 정도 말한 것도 어쩌면 나름의 용기가 필요했을 것 같은데요. 2% 부족합니다. 이건 단편적인 사실의 나열에 불과하구요. 두산의 LG에 대한 비교우위는 에 대한 정확한 진단은 좀더 뼈아픈 각성이 필요할 것 같네요. LG가 잘되어야 정말 피말리는 라이벌전이 될텐데요. 요새는 긴장타는 경기가 없어 좀 아쉽습니다.

우선 두산의 고공비행은 단연코 팀의 전통 때문입니다.
혹자는 운이다, 용병 잘 만난 탓이다 라고 폄하하는데 두산의 본질을 애써 외면하고 싶기 때문에 그렇게 말하는거죠. 두산은 전통적으로 Team Chemistry가 강한 팀입니다. 가식적으로 동료를 위하는 팀이 아니라, 진심에서 우러나오는 화이팅으로 서로를 격려합니다. 어떻게 확인하냐구요? 홈런치고 들어올 때, 끝내기 안타 칠 때, 수비 마치고 덕아웃으로 들어올 때, 우천 세리머니 펼칠 때 보면 압니다. 두산은 정말 선수들 모두 혼연일체가 되어 축하해 주는 모습이 역력합니다. 아래 '구단별 우천 세리머니 점수'를 보고 판단해 보세요. 팀 분위기가 사뭇 다르다는걸 느낄 수 있을겁니다.

관련 블로그 보기
구단별 우천 세리머니 점수

왜 그렇게 되었을까요? 저는 선수가 아니라 정확히는 모릅니다. 다만 추정할 뿐인데요. 팀의 전통이 확연해진건 아마 윤동균감독 항명파동을 겪은 이후 그렇게 되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팀의 고참급을 중심으로 생사고락(?)을 같이 한다는 믿음이 뿌리깊게 박힌게 아닌가 싶네요. 물론 추정일 뿐입니다.

용병도 마찬가지입니다. 두산이 용병복이 많다는거 인정합니다. 역대 최고 용병 베스트 5 중에 우즈와 리오스가 두산출신이니까요. 하지만 Team Chemistry가 뒷받침 되지 않는 한 우즈와 리오스는 없었다고 단언합니다. 리오스는 이미 기아시절에 퇴출당했던 선수였구요. 우즈는 지명당시 하위권에 있던 선수였죠. 가능성만 있던 선수들이 두산에 와서 활짝 만개한 겁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리오스가 기아에 있었다면? 글쎄요, 하여간 지금의 리오스는 분명 아닐껍니다. 두 사람 모두 두산에 와서 지금의 우즈, 리오스가 된거죠. 이미 두 사람 모두 두산의 팀 분위기가 최고라고 인정한 바 있지요. 같은 맥락으로 두산에 유독 많은 무명선수의 급부상도 설명할 수 있을껍니다. 상호경쟁에 기반한 이타적인 두산의 Team Chemistry가 깜짝스타를 만들어내는 거죠. 이건 구단도 코칭스탭도 만들어 내기 어려운 두산의 전통입니다.

최동수는 이걸 구단의 긴축재정이라고 표현했습니다만, 그건 표면적인 상호관계에 불과하지요. LG에서 긴축재정 하면 미러클 두산같은  현상이 나올까요? 정말 그렇게 생각하시나요? 만약 그렇다면 LG도 한번 해보길 권합니다만, 전통은 돈으로 해결할 수 있는게 아닙니다.
 
이런 구단의 전통을 만들고 지키는건 팀의 리더가 큰 몫을 차지합니다. 뉴욕 양키스의 데릭 지터를 보면 확연히 그 차이를 알 수 있는데요. 아시다시피 양키스는 규율이 칼같은 구단이죠. 입단하는 순간, 동굴맨 자니 데이먼도 긴머리를 잘라야 했습니다. 지암비도 마찬가지구요. A-로드도 한동안 지터의 미움을 받아 팀에서 융화하는데 애 많이 먹었습니다. 이런 양키스의 독특한 전통과 규율을 지키는게 바로 지터의 가치입니다. 물론 지터는 수비와 공격 모두 리그 상위권에 속하지만요.

두산도 이런 키맨이 존재합니다. 과거에도 많이 있었지만 현재는 바로 안경현과 장원진입니다. 안경현은 특유의 성실함으로, 장원진은 희생정신으로 음으로 양으로 팀의 사기를 뒷받침하거든요. 가끔씩 TV에 비친 덕아웃을 보면 장원진은 쉬임없이 박수치고, 대화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저번에는 리오스가 장원진의 어깨를 장난스레 깨무는 모습도 봤는데요. 든든한 맏형의 역할을 하는게 장원진입니다. 그 밑에서 홍성흔, 최경환, 정수근 등이 선수들을 활기차게 이끌었구요. 적고 보니 두명은 롯데에 갔네요. 아쉽습니다.

고교야구에도 명문고와 신생고는 차이가 분명히 납니다. 같은 시설, (혹은 더 열악한 시설이라 할지라도) 비슷한 감독, 고만고만한 선수들이라도 명문고에 있는 선수들은 왠지 여유있고 기본기가 탄탄하죠. 그런게 바로 두산의 힘입니다.

반면 LG는 아쉽지만 전통과 리더에서 두산에 비해 열악합니다. 전통은 이광한감독이었나요? 신바람 야구와 스타시스템 등으로 앞서가는 이미지를 많이 구축했는데, 개인플레이에 의존한 까닭에 전통으로 승화시키는데는 실패했죠. 그리고 리더도 LG에는 뚜렷하게 없습니다.

LG에 대해서는 나중에 포스팅할 기회가 있으면 따로 하기로 하겠습니다. 남의 제사에 감놔라 배놔라 하는 것도 모양새가 좋지 않은 것 같아서요. 어쨌든 LG가 두산을 많이 벤치마킹하고 이를 갈아서 분발해주시기 바랍니다. 그래야 야구가 좀더 재밌어지지 않겠습니까?


 

두산베어스 홈페이지에 갔다가 608대첩 동영상을 퍼왔습니다. 보고 또 봐도 신나네요. 6:3으로 뒤진 9회 마지막 공격에서 당시 최고 마무리중 한명인 이상훈을 상대로 무려 8점을 뽑아 결국 11:8로 역전시킨 이 경기.... 아놔~ 이 곰들의 무한한 각목질 실력이란 ㅋㅋ



그러고 보면 미러클 두산에게는 명경기도 참 많은것 같습니다. 507대첩에, 608대첩, 505대첩 등을 비롯해 많은 대첩들이 두산팬들의 가슴속에 남아 있지요. 그래서 두산 팬들은 행복하구요~



요샌 정말 인터넷으로 야구 하이라이트 동영상 보면서 야구의 그리움을 달랜다.

이 경기는 당시에 TV로 직접 봤었는데 긴장감 돌면서 나름 웃겼던 게임이었다. 4분 55초 정도 보면 정의윤이 3루 도루를 하면서 배로 그라운드를 쓸어내는 장면이 나온다. 어찌나 웃음이 났던지... 지금 봐도 한편의 슬랩스틱 코미디를 보는 듯 하다. 기분이 우울할 땐 한번씩 보면 풀릴 것 같다.



[영상 출처 : 베어스 투데이]

아마 신인으로서 의욕이 넘쳐서 미리 슬라이딩을 했던가, 아니면 그라운드 분위기에 압도되어 본헤드 플레이를 했던가 둘 중의 하나일꺼다. 정의윤을 차세대 간판으로 여기는 LG팬으로서는 뼈아픈 장면이다.
 
그리고 진필중을 두드려서 기분이 묘하기도 했다. 한때 두산의 수호신이었는데...


2000년 플레이오프에서 극적인 역전승으로 엘쥐를 물리치고 한국시리즈에 올라갔던 두산.
결국 현대에게 4:3으로 져서 준우승했지만 잊을 수 없는 명장면으로 시즌 내내 눈물나게 했던 해였다.

두산베어스의 전설적인 507 대첩.
9회 2사 주자 없는 상황에서 5점을 뒤집은 이 경기는 야구는 9회 투아웃부터라는 말을 증명한다.

이 살인적인 전율을 경험한 야구팬들은 이 경기를 507 대첩으로 부른다.
이날은 두산베어스기를 집앞에 달아놓아도 되지 않을까~



507대첩’ 9회초 투아웃부터 5점차를 뒤집다.


9회초 투아웃, 스코어는 5-10.


누가 봐도 한 쪽으로 기운 상태. 승부를 지켜보던 팬들도 결과를 예상하고 대부분 떠나버렸고 덕아웃에서도 슬슬 자기 짐들을 챙기는 분위기였다. 그리고 나온 안경현의 안타. 모두가 그러려니 했다. 다음타자 홍성흔도 깨끗한 중전안타를 터뜨리자 끝까지 최선을 다하는 모습에 박수를 쳤다.


그런데 다음 타석에 들어선 강혁이 우측을 넘기는 파울홈런을 치자 관중석이 다시 술렁이기 시작했고 결국 상대투수 차명석이 자신감있게 승부하지 못한 탓에 볼넷을 얻어 만루를 만들었다. 보다 못한 LG 이광은 감독이 마무리 최향남 투입을 지시했다. 점수차는 컸지만 주자가 꽉 차서 세이브 요건이 충족되는 상황이었기 때문에 최향남이 의욕 있게 던질 수 있을 거라 판단했던 것이다.


하지만 웬걸. 최향남도 마음먹은 대로 던지지 못하고 풀카운트까지 가는 접전 끝에 밀어내기 볼넷을 내주는 것이 아닌가. 타석에 섰던 김민호는 가만히 서서 타점 하나를 챙긴 셈이었다.


분위기를 감지한 김인식 감독은 최후의 보루로 이도형을 대타로 내세웠다. 8회에 최훈재를 이미 대타로 써버려서 ‘한방’이 있는 이도형이 마지막 카드였다. 더 이상 피할 수 없었던 최향남은 바깥쪽 직구를 택했고 이도형은 그걸 시원하게 밀어쳤다. 우중간을 가른 주자일소 2루타. 스코어는 어느새 9-10으로 순식간에 박빙의 승부가 되었다.


그래도 원아웃만 잡히면 LG의 승리로 끝나는 게임이었다. 하지만 타석에 들어선 장원진이 집중력을 발휘해 중견수 앞에 떨어지는 안타를 쳐냈고 죽을 힘을 다해 뛴 대주자 이종민이 홈을 밟으면서 한국야구역사상 가장 극적인 동점 승부를 만들어냈다.


우즈의 삼진으로 9회말로 넘어갔고 LG는 선두타자 이종렬이 볼넷을 얻고 출루, 유지현의 희생번트로 1사 2루 절호의 찬스를 만들어 두산을 압박했다. 다음타자는 김재현. 9회 타석에 들어서기 전까지 5타수 4안타로 쾌조의 타격감을 유지하고 있던 상황. 역시 그 감을 속일 순 없었는지 김재현은 우전안타성 라인드라이브를 때려냈고 이대로 끝내기안타가 되는 듯 싶었으나 공은 1루수 강혁의 글러브 속에 빨려 들어갔다. 온 힘을 던져 건져낸 다이빙캐치였다.


곧바로 이어진 10회초 두산 공격. 심정수와 안경현이 연속 볼넷으로 찬스를 잡았고 홍성흔이 유격수 플라이로 투아웃이 되었지만 강혁이 우익선상을 가르는 2루타로 대망의 역전에 성공했다. 5-10을 11-10으로 만든 기적. 두산팬들은 이날을 507대첩으로 기억한다.

<글 출처 : Xports 윤욱제 기자, 두산베어스 홈페이지 원문 발췌>


경기기록표 (2000년 05월 07일)

구단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8회 9회 연장 득점 안타
두산 2 0 2 1 0 0 0 0 5 1 11 14
LG 1 0 3 4 0 1 1 0 0 0 10 16

양팀간 전적[두산 3승0무3패] 잠실구장[관중 26551명] 경기시간 4시간 27분

두산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8회 9회 10회



통산
타율
정수근
좌비 유비 좌비 二땅볼 4 0 0 0 .310
전상열 6
4구 0 0 0 0 .000
이도형 9
우중2 1 0 1 3 .217
주좌 이종민 9
0 1 0 0 .190
좌중 장원진 9
一비 우안타 투땅볼 三실책 삼진 중안타 6 1 2 1 .322
우즈
4구 좌선2 삼진 4구 삼진 삼진 4 2 1 0 .316
김동주
좌선2 유안타 삼진 삼진 유직선 삼진 6 1 2 1 .375
심정수
좌안타 4구 4구 二비 유땅볼 4구 3 1 1 2 .284
안경현
삼진 사구 사구 4구 좌안타 4구 2 1 1 0 .373
홍성흔
우안타 포一병 유땅볼 삼진 중안타 유비 6 1 2 0 .388
강혁
삼진 우선2 우안타 포파비 4구 우선2 5 2 3 1 .351
홍원기
중비 좌월2 중비 3 0 1 1 .395
최훈재 8
포파비 1 0 0 0 .143
김민호 8
4구 삼진 1 1 0 1 .167
2루타:6  3루타:0  홈런:0  도루:0  잔루:13 42 11 14 10 .315


LG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8회 9회 10회



통산
타율
유지현
4구 좌안타 4구 유땅볼 우안타 투희번 3 4 2 0 .311
김재현
중안타 중안타 유안타 二땅볼 우안타 一직선 6 2 4 1 .313
이병규
삼진 중안타 중희비 중안타 4구 삼진 4 2 2 2 .314
양준혁
좌선2 一땅볼 중안타 중안타 포파비 二땅볼 6 1 3 2 .224
최익성
삼진 좌안타 좌중2 一땅볼 유땅볼 좌안타 6 0 3 4 .370
윤현식 10
0 0 0 0 .000
안상준
포파비 좌비 三땅볼 우안타 삼진 유땅볼 6 0 1 0 .258
안재만
삼진 4구 삼진 2 0 0 0 .364
김선진 6
三땅볼 우비 2 0 0 0 .228
김정민
삼진 1 0 0 0 .233
조인성 3
삼진 중비 삼진 三땅볼 4 0 0 0 .239
이종열
삼진 중안타 4구 一땅볼 4구 3 1 1 0 .268
2루타:2  3루타:0  홈런:0  도루:1  잔루:11 43 10 16 9 .275


두산 경기 회수 타자 투구 타수 안타 4사 삼진 실점 자책 방어율
최용호 0.0 6 0 1 0 3 17 75 15 6 2 6 4 4 8.50
이혜천 4.9 16 3 1 1 2 14 56 11 6 2 1 5 5 2.78
김유봉 6.5 20 3 0 1 1⅓ 6 19 6 2 0 1 1 1 1.27
차명주 7.2 15 0 1 1 1⅓ 6 26 5 1 1 1 0 0 4.50
진필중 8.8 12 2 2 8 2⅓ 8 31 6 1 1 1 0 0 1.12


LG 경기 회수 타자 투구 타수 안타 4사 삼진 실점 자책 방어율
류택현 0.0 12 2 1 0 2⅓ 14 52 12 6 2 2 4 4 7.17
신영균 3.6 2 0 0 0 0⅔ 4 17 3 2 1 0 1 1 3.38
이승호 4.1 9 0 1 0 2⅔ 11 40 9 1 2 2 0 0 1.26
최원호 6.3 5 2 0 0 1⅓ 6 26 4 0 2 2 0 0 2.33
차명석 8.9 10 0 0 0 1⅔ 9 32 7 2 2 2 3 3 7.20
최향남 9.9 6 0 1 3 1⅓ 10 39 7 3 3 3 3 3 2.70


데일리 베스트 = 두산 강혁(연장 10회 역전 결승 2루타 포함 5타수 3안타 1타점)
최고수비 = 두산 강혁(9회 김재현의 강습타구 다이빙 캐치)
홈런 = 없음
심판 = 오석환(주심), 허운, 이영재, 최수원
기록정리 = 정효진 명예기자

실책 = 안상준(6회)
도루 = 양준혁 2호(4회, 2-3루)
도실 = 홍성흔(2회, 1-2루)
주루사 = 이종열(9회, 2루)
견제사 = 홍원기(4회, 2루)
폭투 = 류택현(심정수) 신영균(안경현) 최용호(이상 3회, 안재만) 이혜천 2개(4회
포일 = 없음


2005년 5월 5일 어린이날.

이 날은 큰아버지와 자형과 함께 야구를 봤던 날이었다. 큰어머니 병간호 하시는 큰아버지도 뵐 겸, 야구도 같이 관람할 겸, 겸사겸사 잠실구장을 찾은 터였다.


비록 큰아버지는 LG팬이셨지만 당시 야구장에서 같이 소리쳐 보니 밖에서 뵐 때와 너무 달랐다. 든든한 아버지를 다시 뵙는 느낌이었다. 아울러 돌아가신 아버지와 생전에 한번이라도 야구장에 왔었더라면 하는 아쉬움도 진하게 배어나오던 하루였다.

경기는 너무 극적으로 두산이 승리했다. 게다가 내가 제일 좋아하는 홍성흔의 허슬플레이가 제 값을 하던 경기였다. 내  생애 이렇게 극적인 승리가 있었을까 감격해 했던 날이었다. 언제 봐도 가슴 벅찬 승리의 순간. 홍성흔의 헬멧쇼도 오랫동안 기억될 것이다.

두산베어스의 507대첩에 이은 또 하나의 505쾌첩이라 할 만 하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