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삽입 이미지


'추격자(The chaser)', 이 영화를 한국판 스릴러 영화라고 하던데요. 보고 나니 왜 그렇게 불리는지 고개가 끄덕여집니다. 그리고 왜 매니아들이 그토록 열광하는지도 알 수 있을꺼 같구요. 최근에 본 영화로는 '세븐데이즈' 이후 웰메이드 작품이 또 하나 탄생한 듯 싶습니다.

이 영화는 진행되는 동안 팽팽한 긴장의 사슬에서 관객을 놓아주지 않습니다. 하지만 특이한건 그렇다고 보통의 스릴러물처럼 상투적인 반전을 사용하지도 않는다는 점입니다. 범인이 누구인지도 모르게 숨겨뒀다가 의외의 인물로 터뜨리지도 않습니다. 오히려 처음부터 범인은 야비한 모습을 드러내죠. 다만 그 범인을 어떻게 누가 어떻게 잡을 것인가에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관객들은 범인이 누구인지 알기에 영화 속에서 경찰과 검찰이 짚는 헛다리 수사에 가슴을 졸이고 보게 되고, 진실에 가장 근접해 있는, 하지만 악인이라 할 수 있는 포주 엄중호(김윤석 역)에 동질감을 느끼게 되죠. 그래서 이 영화는 다른 스릴러물과 조금은 다른 구성이라 할만합니다.

영화의 매력은 영화의 프레임을 강렬한 캐릭터 한명에만 몰입하지 않았다는 점입니다. 사건의 중심은 살인마 지영민(하정우 역)에 맞춰져 있지만, 사회의 먹고 먹히는 정글의 법칙도 놓치지 않습니다. 경찰들의 비리, 전직 경찰과 현직 경찰들의 불온한 의리관계, 경찰을 주무르는 무능한 검찰, 정치권의 눈치를 봐야 하는 경찰, 그리고 민생탐방이랍시고 시장에서 어슬렁 거리는 서울시장까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감독의 눈에는 이 모든 것이 우리 사회를 이루는 하나의 구성요소임을 담담히 그려내죠. 그래서 관객으로 하여금 사회의 부조리한 부패한 시스템 전체를 답답하게 인식하게 합니다. 그리고 서울시장의 얼굴에 인분을 뿌리는 약간 정신을 살짝 놓은 시민에 관객은 카타르시스를 느끼게 됩니다.

이런 오밀조밀한 영화를 만든 감독이 알고보니 신인이라고 하네요. 그래서 영화감독 나홍진의 프로필은 별로 볼게 없습니다. 그래서 더욱 대단하게 느껴지는군요. 다음 작품이 더욱 기대되네요. 그리고 김윤석과 하정우 연기는 영화의 화룡점정을 놓습니다. 김윤석이야 원래 연기 잘하는 배우로 알고 있었는데요. 하정우는 솔직히 초면이네요. 근데 알고보니 탤런트 김용건의 아들이라는군요. 피는 못속이는가 봅니다. 사이코 살인마역을 무리없이 소화해낸거 보면 말이죠.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아쉬운건 영화에서 살인마 지영민과 망원교회와의 관계가 약간 모호하게 그려졌다는 겁니다. 분명 영화의 흐름상 교회의 장로 집을 살인공장으로 삼았고, 망원동의 밤풍경에 빨간 십자가가 두드러지게 보인 것이 거대한 공동묘지를 연상케 한다는점, 살인 방식이 십자가에 박혀 죽은 예수의 이미지와도 일맥상통한 장면이 있었음에도 더 이상 뚜렷한 언급없이 넘어간 것은 많이 아쉽네요. 결국 살해동기는 성불구자의 변태적인 성욕채우기로 밖에 볼 수 없게 만들었습니다. 뭔가가 하나 더 있을 법한 뉘앙스는 잔뜩 뿌려놓고 슬그머니 원점으로 돌아간 느낌입니다.

또 하나 아쉬운 점은 영화의 세세한 부분까지 사실적으로 그리지 못했다는 점입니다. 창에서 뛰쳐 나온 김미진(서영희 역)의 머리가 비교적 멀쩡한 상태라는 것, 살해된지 오래된 시체들이 발굴되었을 때 썩은 부분이 거의 없었던 점, 그리고 마찬가지로 어항 속에 있던 머리가 물에 불은 듯한 느낌이 없었던 점 등은 스릴러의 특성을 더욱 강하게 극대화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유감스럽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래도 이 영화는 전체적으로 볼 때 꽤 괜챦은 영화임에 틀림없습니다. 꼭 한번 보시길 권합니다. 단, 비위가 상하거나 잔인한 장면에 과도한 반응을 보이시는 분은 삼가시는게 좋을꺼 같네요.

곁다리로 디렉터스 스페셜 올립니다. 즐감하세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기독교를 새롭게 해석하는 움직임이 최근 많이 있었습니다. 대부분의 종교가 그렇지만, 기독교도 역사에 끼친 영향이 워낙 크기 때문에 지금까지의 통념과 다른 시각으로 바라보는게 사실 부담되었죠. 하지만 신성불가침의 영역도 현대에서는 조금씩 깨지고 있습니다.

헐리웃에서는 '패션 오브 크라이스트'도 있었구요. '다빈치 코드'도 물론 있었구요. 국내에서는 코미디긴 하지만 '할렐루야'가 있었고, 소설로는 이문열의 사람의 아들이 기억에 남네요. 앞으로 기독교 혹은 예수를 소재로 하는 영화는 명맥을 이어 나올껍니다.

영화 다빈치 코드를 보고 나니 이게 과연 어디까지가 사실인가 하는 의문이 드네요. 실제 개봉 당시 이 영화를 사실로 믿는 사람들이 너무 많아서 교황청에서 공식 부인하기도 했었다고 하는데, 요새 영화는 워낙 정교한 고증을 바탕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사실 그 구분이 애매한 경우도 가끔 발생합니다.

논란은 차치하고 이 영화를 보면서 가장 궁금했던 것이 성배의 해석과 다빈치의 최후의 만찬 그림에 담긴 비밀입니다. 과연 성배가 여자의 성기를 의미하고, 예수 오른쪽 인물이 마리아인지는 섣불리 판단하기는 어렵지만, 인터넷에 있는 글들을 보면 그렇게 해석할 수 있는 여지는 충분히 있다고 보여지네요. 그렇기에 영화로 만들어졌을 테구요.

저는 종교적 관점이 아닌 추리극의 관점에서 봤구요. 나름 흥미가 있었습니다. 예수를 둘러싼 음모론 정도로 해석하고 있습니다. 진실은 누구도 알 수 없는 것이니까요. 그리고 영화에서도 나오듯 자신이 어떻게 생각하느냐에 따라 달라지기에 진실은 마음속에 있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간 TV에서 하는 설특집 영화가 좀 진부했었는데 간만에 재밌는 영화 한편 봤습니다. 송강호 주연의 '우아한 세계'인데요. 송강호의 연기가 빛을 발하는 영화더군요. 다른 배우들도 잘하지만 역시 송강호는 연기를 참 맛깔나게 잘합니다.

이 영화에서 의미하는 우아한 세계는 누구나 꿈꾸는 그냥 평범한 바람입니다. 돈 많이 벌어 좋은 집에서 가족들과 오손도손 사는 그렇고 그런 대한민국 남자의 로망, 이걸 의미하죠. 근데 이런 우아한 세계를 쟁취하기 위해서는 피튀기는 생존경쟁에서 살아 남아야 합니다. 그리고 유지하기 위해서도 치열한 싸움에서 지지 말아야 합니다. 백조가 호수에서 우아하게 떠있지만 속에서는 발버둥을 치듯이, 보이지는 않지만 하부구조가 튼실히 받쳐줘야 상부구조가 존재하는 법이거든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송강호가 이 하부구조의 리얼리티를 연기합니다. 직장에서는 조직폭력배 중간 보스로서 회장님을 빛나게 하는 하부구조 역할을, 가정에서는 유학간 아들, 딸과 아내를 위해 돈을 벌어야 하는 현금인출기 신세를 극명하게 보여주죠. 하지만 송강호는 정작 우아한 세계의 진정한 의미를 모릅니다. 진정한 우아한 세계는 물질적인 보상이 아니라 가족과 함께 하는 사랑이라는걸 말이죠. 물론 나중에 깨닫기는 합니다. 너무 늦게...

가족을 위해 직장에서 일벌레가 되어버린 남자가 있다면, 그리고 그게 가정의 행복을 위한 당연한 희생이라고 여기는 아버지가 있다면, 이 영화를 권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구타유발자들'은 평가 스펙트럼이 비교적 넓은 영화입니다. 평론가들의 평은 무척 좋았구요. 일반인들의 평은 극과 극으로 나뉘었죠. 좀 보기 불편했다는 반응이 많았던걸로 기억됩니다. 근데 직접 보니 그런 평가가 나올만한 영화가 아닌가 싶네요. 충분이 이해를 할 수 있을꺼 같아요.

'구타유발자들'은 영화적 장치를 사용해 공포를 조성하지 않습니다. 무대도 벌건 대낮에 개방된 야외공간입니다. 깜짝 놀라게 하는 음향적 효과도 없죠. 근데 영화는 상당히 긴장감있게 진행됩니다. 그건 바로 영화가 어디로 튈지 모르기 때문입니다. 비정상적인 등장인물로 인해 예측할 수 없는 방향으로 굴러가기에 관객들은 편히 보기 어렵습니다. 게다가 적절한 핸드핼드 카메라 사용으로 관객이 사건의 현장에 있는 듯한 착각을 갖게 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런 점이 원신연감독의 탁월한 연출력을 증명해준다고 할 수 있죠. 참고로 원신연감독은 '세븐데이즈'도 만들었습니다. 역시 좋은 영화 만드는 감독은 다르죠?

그리고 배우들의 탁월한 연기력이 이 영화를 더욱 빛나게 합니다. 한석규, 이문식, 오달수는 이름값만으로도 웰메이드 영화임을 짐작케 하기에 충분하죠. 실제로 시나리오를 보고 나서 서로 출연하겠다고 자청했다는 후문도 있더군요. 영화를 볼줄 아는 안목과 훌륭한 영화를 돋보이게 하는 연기력이 명배우의 조건이라면 이들은 충분히 그럴만한 자격이 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하지만 뭐니뭐니해도 이 영화의 가장 큰 매력은 함축하는 메시지입니다. 영화 후반부 한석규의 중량감있는 등장으로 이 비정상적인 인물들의 관계는 극명하게 드러납니다. 비이성적이면서도 극단적인 복수극을 가능하게 한 과거의 사건을 마지막에 가서야 보여준건 극적 긴장감을 끝까지 놓치지 않으려는 의도로 보여집니다. 그리고 이어진 충격적인 한석규의 죽음... 복수의 악순환을 끊는 감독 나름의 해결안이 아닌가 싶습니다. 한석규 스스로 원초적인 복수의 씨앗을 스스로 제거한 셈이죠.


도시를 기억하는건 도시 자체 보다는 그 곳에 아름다운 추억이 얽혀있기 때문이 아닌가 싶네요. 도쿄타워, 이 영화를 보면 도쿄에 가보지 않은 사람에게도 마치 도쿄에서 매혹적인 러브스토리가 있었던 것 같은 착각을 들게 합니다. 영상도 그렇고, 등장인물도 그렇고, 모든 것이 깨끗하고 아름답고 몽환적인 모습으로 그려지죠. 그래서 금지된 사랑조차 아름답게 채색이 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도쿄타워는 40대 여성이 20대 초반의 남자와 사랑하는 내용입니다. 하지만 여자 주인공인 시후미(구로키 히토미)는 20대 남자 토오루(주니치 오카다)의 연인이라는 사실이 전혀 어색하지 않은 외모와 몸매를 지니고 있습니다. 게다가 시후미는 잘나가는 CF 기획자인 남편과 부유한 삶을 살고 있고, 자기 또한 셀렉트숍을 운영하고 있는 한마디로 완벽한 여자로 나오지요. 게다가 토오루와의 사랑에서도 매달리기 보다는 쿨한 모습을 보여줍니다. 오히려 토오루가 시후미가 좋아하는 라흐마니노프 음악을 듣고 그녀의 전화만을 기다리는 수동적인 사랑을 하구요.

이로써 이 영화는 일본의 중년여성은 자신이 꿈꾸는 완벽한 판타지를 구현해줍니다. 100% 대리만족 시켜주죠. 삶에 찌들리지 않는 우아한 삶을 누리면서도 인정받는 자기 일이 있고, 능력있는 남편도 있으면서도 연하의 남자와 꿈같은 사랑도 하는... 그래서 도쿄타워는 기존의 남성중심의 로맨스 스토리를 거부합니다. 여성도 사랑을 지배할 수 있음을 대변해줍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하지만 현실은 냉혹하기에 치명적인 사랑을 하는 두사람에게 모든 것을 쥐어주지는 않지요. 결국 토오루는 실연에 가슴 아파하다 프랑스로 유학가고 시후미는 이혼하게 됩니다. 그리고 어느 정도 시간이 흐른 후... 두사람은 모든걸 버린 후에야 다시 만나게 됩니다. 어쩔 수 없는 영화적인 결말이기도 하구요. 그리고 가장 인상적인 장면이기도 했습니다.

이 영화에는 노라 존스의 Sleepless nights와 Yamashita Tatsuro의 Forever mine이라는 곡이 나옵니다. 노라 존스의 곡은 감미롭고, 야마시타의 노래는 애절합니다. 그래서 이 영화와 너무 잘 어울리네요. 특히 마지막 장면에 나오는 Forever mine은 진한 여운을 남기게 하구요.  

아래 삽입된 뮤직비디오는 Forever mine인데요. 뮤비 내용이 영화 내용과는 상관없지만, 몇번 보니 이루기 힘든 금지된 사랑이라는 면에서는 어느 정도 비슷한 점도 있는 것 같네요.

참... 그리고 이 영화에서 도쿄타워는 두 사람의 사랑을 확인시켜주는 매개체입니다. 두 사람의 금지된 사랑이 폭로되어 파탄 직전에 있을 때, 두 사람은 다른 장소에서 도쿄타워를 동시에 바라보며 통화를 하게 되죠. 사랑의 메신저와도 같은 역할입니다. 그래서 영화 제목이 도쿄타워입니다.




僕だけが
보쿠다케가
(나만이)
あなたを守れる
아나타오마모레루
(당신을 지킬 수 있어)
この世界でひとり
코노세카이데히토리
(이 세계에서 혼자)

僕だけが
보쿠다케가
(나만이)
あなたを愛せる
아나타오아이세루
(당신을 사랑할 수 있어)
他のどんな誰より
호카노돈-나다레요리
(다른 어떤 누구보다)

絹の雨に濡れながら
키누노아메니누레나가라
(비단의 비에 젖으면서)
夜明けまでずっと
요아케마데즛-토
(새벽까지 쭉-)
抱きしめていたい
다키시메테이타이
(꼭 안고 있고 싶어)
このまま
코노마마
(이대로)

さあ
사아-
(자-)
僕の胸で
보쿠노무네데
(나의 가슴에서)
腕の中で
우데노나카데
(팔 안에서)
忘れていた
와스레테이타
(잊고 있었어)
夢の續きを
유메노츠즈키오
(꿈의 연속을)

さあ
사아-
(자-)
呼びさまして
요비사마시테
(불러 깨어나)
溶けて行こう
토케테유코-
(녹아 들어가자)
僕と
보쿠토
(나와)
本当の愛の靜寂へ
혼토노 아이노 시지마에
(진실된 사랑의 정적으로)

いつだって
이츠닷-테
(언제나)
あなたを見ていた
아나타오미테이타
(당신을 보고 있어)
いくじなしの黃昏
이쿠지나시노타소가레
(패기없는 황혼)

强がりと
쯔요가리토
(강한척과)
孤獨なプライド
고도쿠나프라이도
(고독한 프라이드)
全てはもう幻
스베떼와모-마보로시
(모두는 이제 환상)

二度と
니도토
(두번 다시)
目覺めなくていい
메자메나쿠테이이
(깨지 않아도 좋아)
美しい橫顔に
우츠쿠시이요코가오니
(아름다운 옆얼굴에)
崩れ去ってしまえる
쿠즈레삿-테시마에루
(무너져 떠나버릴 수 있어)

さあ
사아-
(자-)
時の中へ
도키노나카에
(시간속에)
あなたは今
아나타와이마
(당신은 지금)
ありのままの
아리노마마노
(있는 그대로의)
自分にもどる
지분니모도루
(자신으로 돌아가)

さあ
사아-
(자-)
くちずけして
쿠치즈케시테
(입맞춰)
墮ちて行こう
오치테유코-
(타내려가자)
僕と
보쿠토
(나와)
永遠の愛の靜寂へ
에이엔-노아이노시지마에
(영원한 사랑의 정적으로)

悲しみを强さに變え
카나시미오쯔요사니카에
(슬픔이 강인함으로 변해)
暗闇に虹を燈す
쿠라야미니니지오토모스
(어둠운 곳에 무지개를 켜)
いつか
이츠카
(언젠가)

絹の雨に濡れながら
키누노아메니누레나가라
(비단의 비에 젖으면서)
夜明けまでずっと
요아케마데즛-토
(새벽까지 쭉-)
抱きしめていたい
다키시메테이타이
(꼭 안고 있고 싶어)
このまま
코노마마
(이대로)
FOREVER MINE

さあ
사아-
(자-)
僕の胸で
보쿠노무네데
(나의 가슴에서)
腕の中で
우데노나카데
(팔 안에서)
忘れていた
와스레테이타
(잊고 있었어)
夢の續きを
유메노츠즈키오
(꿈의 연속을)

さあ
사아-
(자-)
呼びさまして
요비사마시테
(불러 깨어나)
溶けて行こう
토케테유코-
(녹아 들어가자)
僕と
보쿠토
(나와)
本当の愛の靜寂へ
혼토노 아이노 시지마에
(진실된 사랑의 정적으로)

さあ
사아-
(자-)
くちずけして
쿠치즈케시테
(입맞춰)
墮ちて行こう
오치테유코-
(타내려가자)
僕と
보쿠토
(나와)
永遠の愛の靜寂へ
에이엔-노아이노시지마에
(영원한 사랑의 정적으로)
本当の愛の靜寂へ
혼토노아이노시지마에
(진실된 사랑의 정적으로)

FROM NOW ON
YOU'RE MINE. YOU'RE MINE
AND FOREVER MINE



 


회사에서 담당 회식을 어떻게 할지 우리 수석부서에서 정하라는 오더가 떨어졌다. 그동안 삼겹살에 소주 일색이었던 회식에 모두 지쳐 있었지만, 사실 회식이란게 그 자체로 달갑지 않아서 영 마뜩챦았다. 차라리 일찍 퇴근시키는게 재충전에 더 좋은데 말이다. 그래도 아이디어는 내야겠기에 영화보며 맥주 마시기를 제안했는데 그냥 그대로 통과되고 말았다. 안하는게 더 좋은데... ㅜ.ㅜ

어쨌든 '괴물' 개봉하는 날에 맞춰 회사동료들과 일찍 퇴근했다. 대부분은 화제작 '괴물'을 보지만 그래도 일부는 '한반도' 등으로 발길을 돌렸다. 하긴 영화까지 회사사람들이랑 같이 봐야 하느냐는 생각에 일부러 그랬는지도 모르겠다. 난 강우석감독은 별로였고 봉준호감독을 신뢰하고 있었으니 선택은 당연히 '괴물'이었다.

선택은 탁월~ 그 자체였다. '살인의 추억' 보다 짜임새는 덜 했지만, 메시지나 흡인력은 훨씬 나았다. 봉감독은 나를 배신한 법이 없다. 별을 주라고 하면 주저없이 ★★★★★ 쏜다.





배우들의 연기도 물샐틈없이 이어져 well-made 영화라 평을 받은 이유를 알만 했다. 특히나 변희봉씨의 연기는 묵은 장맛의 우수성을 재확인 시켜줬다. 소시민의 이미지, 못난 아들을 감싸는 아버지, 그리고 가족을 위해 모든걸 희생하는 가장의 모습을 얼굴의 주름 하나하나가 연기하는 듯 매끄러웠다.


마지막 '괴물'에 공격당하기 직전 변희봉씨의 미소는 전율감마저 느끼게 해주는 명장면이었다.(살짝 눈물이 핑 돌았다) 변희봉씨는 '살인의 추억'에서 그리 비중있는 역할은 아니었음에도 맛깔스러운 연기가 눈에 선했는데, '괴물'에서는 한단계 업그레이드되어 연기력에 걸맞는 비중을 찾았다.


역시나 영화 끝나고 맥주집으로 옮긴 이후 회식 분위기는 좋았다. 다들 회사 얘기는 빼고 영화 얘기로 꽃을 피웠다. 영화는 이 맛에 혼자보면 제 값을 못뽑는 것 같다. 영화라는 텍스트보다 영화를 보고 난 이후 각자의 해석을 듣는 맛이 제법 쏠쏠하다. 영화보든 동안 발견못했던 텍스트의 의미를 동료를 통해 알게 되었을 땐 음.. 이사람 이런 면도 있었네~ 하는 신선한 발견을 하기도 한다.

게다가 영화보고 맥주 한잔 걸치면 시간이 어느덧 택시잡아야 할 시간이 다가와 과음않고 귀가하게 되니 일석이조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