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저리그를 호령했던 김선우가 두산의 근심거리가 되고 있다. 내 주위엔 김선우가 선발인 날엔 직관을 피하겠다는 팬들도 많다. 승패를 떠나서 답답한 투구를 보기 싫어서다. 마운드의 대들보여야 할 써니가 왜 이렇게 되었을까?
팬 입장에서 보면 무뎌진 팔의 각도가 계속 눈에 밟힌다. 오버스로였던 폼이 언제부턴가 쓰리쿼터로 떨어지더니, 지금은 사이드암이라 봐도 무방할 정도다. 완만한 각도가 공의 위력을 떨어뜨린건지, 떨어진 공의 위력을 올리기 위해 각도를 내린건지, 그건 알 수 없다. 확실한건 전성기에 비해 팔이 내려갔다는 점이다. 어쨌든 140km가 안되는 직구와 횡으로 벌어지는 변화구가 타자를 압도하지 못하고 있다. 체력도 문제있어 보인다. 올해 가장 많이 던진게 90개였다. 5 2/3이닝이다. 이후 평균 60개 수준에 불과하다. 지금 수준으로 보면 맥시멈 6이닝이고 현실적으로 5이닝을 목표로 던져야 한다는 얘기다. 그런데 선발 목표가 고작 5이닝이라면 불펜에겐 부담이 너무 크다. 그렇다고 김선우를 불펜으로 내릴 수도 없다. NC 손민한이 선발로 뛸 수 밖에 없는 이유와 비슷하다. 두산의 고민이다.결국 김선우가 선발인 날엔 불펜이 바빠질 수 밖에 없다. 특히 롱릴리프 역할이 중요해진다. 오늘 김상현이 3이닝을 무실점으로 막은 것처럼.
[사진 출처 : OSEN]
그렇다고 김선우의 가치를 폄하할 순 없다. 그가 두산에 기여한 바가 크고, 베테랑의 역할을 숫자로만 평가할 수 없기 때문에. 그의 경험이 투수진에 미치는 영향을 가벼이 볼 수 없다. 다만 노쇠화에 접어든 김선우를 어떻게 연착륙시킬 것인지, 두산 코치진은 해법을 내놔야 한다. 메이저리그에서 복귀한 2008년 6승에서 시작해 2011년 16승으로 최정점을 찍은 후, 계속 내리막길을 걷고 있기 때문에 더욱 그렇다. 참고로 2012년 6승으로 급감한 뒤 올해 2승 5패 기록 중이다.
머지 않은 날에 김선우 등판일이 글루미데이가 아닌 써니데이가 되리라 믿는다. 메이저리거는 분명 클래스가 다르기 때문이다. 서재응이 제구력으로, 김병현이 역동적인 투구폼으로 각각 4승씩을 거두고 있는 것처럼.
오늘 경기는 엘지에게 졌다. 3회 박용택에게 만루홈런을 맞은 후 7회까지 무실점으로 막아준 계투진 덕분에 역전의 발판은 마련했는데, 거기까지 였다. 8회에 정의윤에게 잡을 수 있는 플라이를 놓쳐 실점하면서 분위기를 뺐겼다. 마지막 한 고비를 넘기지 못한게 아쉽다. 그러나 이제 두산 마운드가 5월의 악몽에서 벗어나 어느 정도 전투력을 갖췄음을 보여준 경기였다. 내일은 반드시 이겨 현충일 시리즈를 위닝으로 마무리하길 기대한다. 선발은 니퍼트와 신정락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