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본성에 차별화(Differentiation)에 대한 욕구가 있다고 하죠. 다른 사람과 구분되는 자신만의 무엇, 이런게 경쟁을 유발하여 선의의 발전으로 이어지면 괜챦은 구도가 되는데요. 역으로 타인을 차별하고 억압하는 구도로 간다면 역사는 퇴행하게 됩니다. 비견한 예로 히틀러의 인종주의나 한국의 지역감정... 등이 있겠죠. 세상 어디서나 쉽게 찾아볼 수 있는데요. 미국에는 흑백갈등이 있습니다. 


이 책은 흑인으로 흑인차별이 횡행하던 1959년 분장(?)한 백인이 남부를 여행하면서 겪는 이야기입니다. 분장이 단순한 데코레이션이 아닌 의학적 시술에 의한 피부탈색이구요. 이 모험을 감행한 사람은 존 하워드 그리핀입니다. 직업은 뭐 다양해서 하나만 집어 말하긴 어려운데요. 소설가겸 작가이자, 사진작가이고, 음악학자이기도 하다네요. 중요한건 그가 인종차별을 몸소 체험하고 그 부당성을 알렸다는 측면에서 인종철폐주의자가 되었다는 점입니다.

이 책을 읽으면서 그가 느꼈던 센세이셔널한 체험담은 그닥 관심에 있지 않았습니다. 백인인 그가 흑인이 되어 겪었던 쇼킹한 일들은 황인인 나에게까지 쇼킹한건 아니니까요. 그냥 그렇겠거니 인지하는 정도일 뿐입니다. 오히려 더 심한 체험담도 책으로 봤었죠. 흑인소녀가 백인학교에 입학하면서 겪게 되는 비참한 체험이야기... 실화여서 더욱 가슴이 아팠던 기억이 나네요. 그래서 전 이 책이 내리는 결론이 집중했는데요. 결론적으로 그리핀은 1959년 10월 28일 여행을 시작해서 12월 15일에 마쳤습니다. 여기서 여행을 마쳤다는건 다시 의학적으로 백인으로 돌아간걸 의미하겠죠? 그의 생생한 경험담은 당시 미국이 인종차별에서 많이 벗어났다고 자위하던 주류사회에 경종을 울렸구요. 진정한 역지사지 입장에서 구술한 책으로 평가받아 지금까지 고전으로 뽑힌다고 하네요. 특히 오바마 대통령이 당선된 이후 더 주목받는게 아닌가 싶습니다요. 

이 책이 주는 결론? 그런거 없습니다. 걸리버 여행기보다는 현실적이지만, 타자로서의 자아가 경험한 사회와 자아로서의 자아가 경험한 현실은 분명 다르니까요. 다만 그동안 애써 눈감아 왔던, 모른체 해 왔던 현실에 경종을 울렸구요. 흑인과 백인은 피부색만 다를 뿐 본질적으로 같은 인간이라는 평범한 진리를 깨우쳐준 것 뿐입니다. 썼기는 이렇게 썼지만 그렇게 자신을 일시적이나마 실험대상으로 써가며 진실알리기에 나선 용기와 지혜는 감탄스럽습니다. 백인이 구축해 놓은 사회구조에 적응하기 위해 수동적이면서 미련하고도 온순한 흑인상에 가깝게 스스로 행동하는 것, 역시 장기적으로 왜곡된 흑인 이미지 고착화에 기여한다고 지적한 점이 인상적이네요.

돌아보면 우리도 예외는 아니죠. 특정 지역 사람들에게 행해지는 눈에 보이지 않는 차별도 그렇구요. 통일 이후 닥칠 남북 주민간의 차별화(Differentiation)도 걱정됩니다. 신해철인가 그랬다죠? 연변의 조선족 중 상당수가 독립투사의 후손인데 한국에 와서 천대받는 현실이 안타깝다고... 그렇죠. 사실 국내에서 친일파면서 떵떵거리는 후손들 아직도 있으니 뭐... 쩝...

하여간 선입견 없이 사람을 바라본다는 것. 어렵지만 중요한 일인 것 같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