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준호의 '설국열차'를 본 후 떠오른건 인생무상이었다. 계급갈등을 뚫고 일궈낸 통쾌한 승리를 기대했던 나로선 당황스러운 결말이다. 하지만 이 당황스러움은 실망이 아닌 신선한 충격에 가까웠다. 봉준호 다운 반전이랄까? 역시 거장은 기대를 저버리지 않았다. 덕분에 엔딩 크레딧이 오른 후에도 한참 동안 영화 메시지를 곱씹을 수 밖에 없었다.


영화는 빙하기에 처한 세상에서 노아의 방주 같이 달리는 기차를 배경으로 한다. 그 안에는 열차 칸마다 구분된 계급이 설정되어 있다. 노예와 비슷한 꼬리칸의 승객들이 운명을 개척하기 위해 한칸 한칸 앞으로 전진한다. 이쯤 되면 영화의 결말은 대략 견적이 나온다. 그러나 영화는 그런 상투적인 권선징악을 거부한다. 인간의 선과 악 혹은 사회의 안정과 혁명에 대해 진지하게 질문을 던진다. 악으로 여겨졌던 윌포드의 사회를 향한 고민이나, 선으로 여겨졌던 커티스의 과거 모두 충격적이다. 이 시점에서 관객들은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진다. 내가 윌포드라면, 내가 커티스라면 과연 어떤 선택을 할 것인가? 그 질문에 대한 답을 찾을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쉽지 않다.


이영화에서 가장 빛나는 연기를 보여준 틸다 스윈튼


이 영화는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신'과 상당히 비슷하다. 소재가 기차와 우주선으로 갈릴 뿐, 영화적 상상력이나 메시지는 도플갱어다. 질서가 잡혀있는 안정된 세계와 그 틀을 깨기 위한 노력이 부딪쳐 만들어내는 새로운 세계 혹은 새로운 창조물은 정반합(正反合)의 원리를 연상시킨다. 이 영화에서 정(正)을 윌포드와 길리엄으로, 반(反)을 커티스로 본다면, 합(合)은 요나다. 특이한건 정(正)에 해당하는 윌포드와 길리엄이 자석의 N극과 S극처럼 상극이면서 동시에 한몸이었다는 점이다. 이건 막바지에 영화를 미궁에 빠뜨리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반면 합(合)인 요나는 정(正)과 반(反)의 요소를 모두 갖춘 새로운 결합체다. 기차에서 태어난 까닭에 지구를 경험하지 못한 요나는 기차의 질서에 익숙한 정(正)이며, 어쨌든 반란세력에 합세한 역할은 반(反)에 해당한다. 그러나 요나는 기차를 벗어나 새로운 지구에 발을 내딛어 합(合)으로 승격되는 운명을 맞는다. 여기에서 주목할 점은 요나가 합(合)을 스스로 선택하지 않았다는 점. 어차피 역사에서 우연과 필연은 종이 한장 차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충분히 고개를 끄덕일 수 있지 않을까?


영화에서 아쉬운건 각 등장인물의 복잡한 과거들이 상당 부분 대사로 풀어진다는 점이다. 영상으로 노출되는 소품이나 상징 등으로 암시를 해줬더라면 관객들을 더 큰 충격으로 몰아넣을 수 있었을텐데.. 하긴 그런건 '괴물'에서도 마찬가지였다. 한강에 괴물의 등장 이유를 처음부터 명확하게 밝혔더랬다. 어쩌면 봉준호 감독의 스타일이기도 하고. 


한번쯤 사회와 인간에 대해 고민해보고 싶은 사람에겐 강추, 적당히 잔인한 봉준호 스타일의 영화를 싫어하는 사람에겐 비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