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분야에 가(家)를 이룬다는 건 대단한 일이다. 치열한 투쟁을 통해 자신의 영역을 구축하고 오랜 세월을 지켜왔다는 자체가 그에게 보통 사람과는 다른 뭔가가 있다는 뜻이다. 그런 면에서 이 책은 바둑에 대한 호감과 함께 삶에 대한 자세를 배울 수 있게 한다. 


조훈현은 바둑을 두 듯 인생을 살고, 바둑의 판세를 읽 듯 인생을 해석한다. 그게 옳던 그르던 그는 그렇게 살았고, 그 선택의 축적분이 지금의 그다. 한 때 온라인 바둑게임 사업을 하면서 비난을 받았지만, 그는 그 길이 바둑 저변 확대를 위해 필요한 일이라고 판단했다. 그래서 온갖 비난에도 떳떳할 수 있었다. 비록 사업은 실패해서 결과적으로 악수를 둔 셈이지만, 인생에선 악수인 걸 알면서도 둬야 한다고 주잔항다. 오히려 그는 나이 어린 친구들이 하기엔 비난이 더 커지고, 나이가 든 사람이 하기엔 부담스러우니 자신이 해야 한다는 소명의식까지 보였다. 어쨌든 그 진정성은 책에서 충분히 느껴졌다. 


한 가지 공감했던 건 삶의 자세에 대한 조언이다. 매너는 가르칠 수 있지만, 인품은 못 가르친다는 것, 가르치려 덤비는 순간 망가질 수 있기에 그저 모범이 되라는 얘기는 새겨둘 만한 교훈이다. 누구나 알지만 쉽게 행동으로 옮기지 못하는 교훈이기도 하다. 


반면 알파고와 같은 AI에 대해서 오판한 면이 있다. 아무리 기보를 외워도 고수는 사고의 깊이가 있기에 한 순간에 승부를 뒤집을 수 있다는 게 그의 생각이었다. 하지만 어디 오판이 조훈현만의 생각이었을까. 그렇게 이세돌의 패배는 전 국민의 충격이었다. 


번외로 바둑을 모르는 나로선 조훈현, 서봉수, 이창호, 유창혁의 바둑류에 대해 이해하지 못한다. 그럼에도 서로 다른 바둑류에 대해 흥미를 느끼는 건 인생과 비슷해서 일 것이다. 천재형과 노력형, 공격형과 수비형 등 자신의 스타일을 대입해 응원하며 대리만족을 느끼게 되기 때문이다. 조훈현은 그런 면에서 내가 선호했던 기사는 아니었다. 된장국 냄새 나는 서봉수를 응원했던 기억이 난다. 책에선 두 사람이 사석에서 피하는 사이라는 게 의외기도 하고, 한편 이해되기도 한다. 그만큼 치열한 승부를 했을 테니 말이다. 



+ Recent posts